Git을 사용하면서 여러 번 git add, git commit을 실행했다면, 이제까지 만든 버전들을 확인하는 방법도 알아야겠죠?
이번 글에서는 git log 명령어를 사용하여 커밋 내역을 확인하는 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!
git log
① git log 내용
Git에서 git log 명령어를 사용하면 지금까지 기록한 모든 커밋(버전)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다음과 같이 입력하면, 우리가 만든 모든 버전의 정보가 출력됩니다.
git log
git log 명령어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가 출력됩니다.
① commit 해시 : 숫자와 영어의 조합으로 구성된 커밋 해시 값이 나오게 됩니다.
커밋 해시는 버전을 명명하는 아이디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② Head 정보 : 현재 우리의 버전이 어디에 있는지 (= HEAD가 가리키고 있는 최신 버전) 브랜치를
알려줍니다.
③ commit 메세지 : 커밋을 생성하면서 적었던 메시지가 나옵니다.
이외에도 작성한 작성자 정보( ← 해당 내용은 협업시 도움됩니다), 작성 시점이 나오게 됩니다.
이와 같은 버전에 대한 정보를 나열해놓은 것을 commit log라고 합니다.
📌 커밋 해시는 왜 필요할까?
각 커밋은 16진수의 긴 문자열(예: a1b2c3d4...)을 갖습니다.
이 값은 특정 버전으로 이동할 때 필요하므로 꼭 기억해 두세요!
② git log 옵션(--graph, --oneline)
git log는 기본적으로 많은 정보를 출력하기 때문에 더 깔끔하게 정리해서 보는 방법도 알아야 합니다.
다음 두 가지 옵션을 자주 사용합니다.
첫 번째는 --graph 옵션입니다. (커밋 흐름을 시각적으로 보기)
git log --graph
git log --help의 매뉴얼을 참조해보면, --graph 옵션은 커밋 사이에 선을 그어주어 커밋 간에 관계에 대해서 알려주게 됩니다. 어떤 버전으로부터 이전 버전이 나오게 되었는지, 이후 버전이 나오게 되었는지 표기해주고 알 수 있게 해 줍니다. 아래 그림처럼요. 이후에 배울 branch라는 개념이 도입되면 버전이 점점 복잡해지기 때문에 가시화해서 버전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해지게 됩니다.
두번째는 --oneline 옵션입니다.
git log --oneline
이 옵션을 사용하면 커밋 해시(7자리) + 메시지만 한 줄로 보여주어 훨씬 깔끔하게 정리됩니다. 3개의 내용을 표기해줍니다. 커밋 해시 7자리와 HEAD정보, 커밋 메시지 정보를 알려주죠
일반적으로는 위의 두 개 옵션을 함께 사용해서 가시성을 높여 사용합니다. ㅎㅎ
git log --graph --oneline
*Reference
- file:///C:/Program%20Files/Git/mingw64/share/doc/git-doc/git-log.html (git log --help)
- "지옥에서 온 문서 관리자 깃&깃허브 입문" 이지스버블리싱 - 이고요, 고경희 지음
-
부족한 글이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'프로그래밍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1-6) git 버전관리 - git의 원리(git의 파일 상태 ) (1) | 2022.10.05 |
---|---|
(1-5) git 버전관리 - git의 원리(git의 구조) (0) | 2022.10.04 |
(1-3) git 버전관리 - n번째 버전 만들기 (0) | 2022.09.28 |
(1-2) git 버전 관리 - 첫번째 버전 만들기 (0) | 2022.09.27 |
(1-1) git 버전관리 - 사용자 등록 (0) | 2022.09.26 |